<2025년 수당상 관련>
"제34회 수당상에 이효철-이중희 교수", 동아일보 (2025.05.08)
"삼양그룹 수당상에 이효철 카이스트 교수·이중희 전북대 교수", 연합뉴스 (2025.05.07)
"삼양그룹 ‘제34회 수당상’에 이효철·이중희 교수 선정", 경향신문 (2025.05.07)
<연구단 소개>
“화학반응의 모든 것을 파헤치다, KAIST 첨단 반응동역학 연구단”, IBS 블로그 기자단 (2024.09.13)
<2024년 네이처 케미스트리 관련>
"결정 내 원자의 움직임 '1000조분의 1초' 단위로 포착 성공", 조선비즈 (2024.03.26)
"IBS, 화학적 단결정 분자 반응경로 최초 규명", 쿠키뉴스 (2024.03.26)
"IBS, 단결정 내 역동적인 분자구조 변화 포착", 뉴시스 (2024.03.26)
"IBS, 단결정 내 역동적인 분자 구조 변화 포착 성공", 데일리안 (2024.03.26)
<2024년 네이처 논문 관련>
"이온화 후 분자 구조 변화, 세계 최초로 포착", 조선비즈 (2024.01.11)
"IBS 연구진, 분자 이온화 이후 구조 변화 실시간 관측", 연합뉴스 (2024.01.11)
"IBS, 세계 최초로 분자의 이온화 및 구조 변화 실시간 포착", 이코노미사이언스 (2024.01.28)
"Scientists capture real-time ionization and structural changes", Phys.org (2024.01.10)
"Epic of a molecular ion: With eyes of electrons", Science Daily (2024.01.10)
<한림원 정회원 선출>
“과학기술한림원 2024년 정회원 33명 선출”, 조선일보 (2023.11.29)
<2023 IBS 연구클러스터 출범>
“IBS, 캠퍼스 연구클러스터 2곳 출범…융합연구 강화”, 파이낸셜 뉴스 (2023.07.03)
<2021년 연구단 출범 관련>
“IBS 첨단 반응동역학 연구단 23일 출범…단장에 이효철 KAIST 교수", 동아사이언스 (2021.12.23)
“IBS 첨단 반응동역학 연구단 23일 출범”, IBS Press Release (2021.12.23)
“IBS 첨단 반응동역학 연구단 신규 출범 - 화학 분야 신규 연구단…단장에 이효철 KAIST 교수 선임 -”, IBS News & Events (2021.12.23)
<3.1문화상 수상 관련>
“이성규·이효철·안종현 교수·윤후명 소설가…제62회 ‘3·1문화상’ 수상자로 선정”, 경향신문 (2021.02.02)
“3·1문화상에 이성규·이효철·윤후명·안종현”, 연합뉴스 (2021.01.31)
<2020년 PNAS 논문 관련>
"단백질이 접히는 과정 분자 수준에서 실시간 관측", 연합뉴스 (2020.07.09)
"알츠하이머·치매 정복 실마리…단백질 접힘과정 관측 성공", 헤럴드 경제 (2020.07.09)
"단백질 접히는 구조 포착.. 깔때기꼴 접힘설 입증", 아시아 경제(2020.07.09)
<2020년 네이처 관련>
"1000조분의 1초...원자가 분자되는 전과정 세계 최초 포착", 조선일보 (2020.06.25)
"IBS 이효철 교수팀, 펨토초 특수광원으로 화학결합 진행 중 원자 관찰", 연합뉴스 (2020.06.25)
"포항 방사광가속기, ‘네이처 논문 메이커’ 등극… “日 성능 능가”", 조선비즈 (2020.06.25)
"원자가 결합하는 '1000조 분의 1'초를 잡았다", 아시아경제 (2020.06.25)
<차세대한림원>
“젊은 과학자 위한 '차세대한림원' 출범”, 서울경제 (2017.02.24)
<경암학술상 수상 관련>
“경암학술상 4명 선정”, 동아일보 (2016.09.13)
“권헌익·이효철·이창준·선양국 씨…제12회 경암학술상 수상”, 한국경제 (2016.09.12)
“제12회 경암학술상 수상자 4명 선정”, 연합뉴스 (2016.09.12)
<올해의 KAIST인 상>
“'올해의 KAIST인 상'에 화학과 이효철 교수”, 연합뉴스 (2016.01.05)
“'이효철 교수, ‘올해의 KAIST인’ 선정”, 매일경제 (2016.01.05)
“이효철 교수 '올해의 KAIST인'”, 한국경제 (2016.01.05)
<2015년 네이처 관련>
분자 탄생 '1천조분의 1초 화학결합' 순간 실시간 관측, 연합뉴스 (2015.02.22)
국내 연구진,세계 최초로 분자 탄생의 순간 실시간 관측 성공, 매일경제 (2015.02.22)
분자 탄생 순간 세계최초 실시간 관측, 디지털타임스 (2015.02.22)
국내연구진, 1조분의 1초…'분자탄생' 관측하다, 헤럴드경제 (2015.02.22)
"국내 연구진, 세계 최초 '분자의 탄생' 포착", 뉴시스 (2015.02.22)
<2013년 네이처 케미스트리 관련>
“재빠른 분자의 화학반응 경로 관찰해냈다”, 연합뉴스 (2013.02.13)
“IBS 연구단, 단백질 화학반응 매커니즘 3차원 구조로 밝혀내”, 뉴스 1 (2013.02.13)
“카이스트 이효철 교수팀, 3D로 보고 제어하는 단백질 화학반응 규명”, 전자뉴스 (2013.02.13)
<동아일보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 명예의 전당 등재>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한국 넘어 세계로”… 도전-혁신으로 빛나는 21개의 별”, 동아일보 (2013.04.04)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스스로 부딪치고 깨닫기를… 삶의 교훈이 더 값져””, 동아일보 (2012.04.21)
<2008년 네이처 메서드 관련>
““단백질 분자구조실시간 관찰 성공” KAIST 이효철교수 연구”, 경향신문 (2008.09.22)
“이효철 KAIST 교수, 몸 속 단백질 분자 변화 X선 관측 성공”, 한국경제 (2008.09.22)
“단백질 구조 동영상으로 본다”, 매일경제 (2008.09.22)
“단백질 작동 메커니즘 밝혀냈다”, 디지털타임스 (2008.09.22)
<2007년 젊은과학자상 수상 관련>
“젊은 과학자상 4명 선정”, 동아일보 (2007.01.06)
“젊은과학자상, 일생 한번의 기회 ‘과학계 신인상’”, 경향신문 (2007.01.14)
“[과학강국을 이끄는 사람들] 제10회 젊은과학자상 수상 4인”, 디지털타임스 (2007.01.09)
<2005년 사이언스 관련>
“KAIST 이효철교수 100억분의 1초 간격 촬영 성공”, 동아일보 (2005.07.15)
“분자 움직임 보여주는 캠코더 개발”, 사이언스타임스 (2005.07.17)
“KAIST 이효철 교수팀, 분자 캠코더 개발”, 뉴스와이어 (2005.07.15)
“KAIST 이효철 교수팀, 분자 캠코더 개발 논문 사이언스 誌 게재”, 정책브리핑 (2005.07.15)